본문 바로가기

java5

[Java] Enum 클래스의 개념과 사용 최근 새롭게 자바 공부를 시작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며 알게 된 지식들을 조금씩 블로그에 정리해보려 한다. 첫 번째는 Enum 클래스다. 📌 Enum의 의미와 개념 Enum이란 Enumeration의 앞글자로 '열거'라는 의미로 관련 있는 상수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클래스이다. 대표적으로 요일이나, 계절 처럼 서로 의미있고 한정적인 데이터 집합들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클래스 내 선언하는 상수가 많아질수록 네이밍이 겹치는 것을 막고 상수값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Class 대신 Enum을 사용한다. Enum은 단순히 데이터의 집합이 아니라 온전한 클래스 형태로 보며 상태와 행위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enum 생성자는 private으로 선언 📄 Enum을 사용하는 이유 아래 두 가지 .. 2021. 11. 23.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 자바 / Java / stringBuilder 💡solutions 💬 String.toCharArray()를 사용하여 문자열 s를 char형 배열(arr[ ])로 바꾼다. * 참고로 char형 배열을 하나의 문자열로도 만들 수 있다 -> String s1 = new String(charArr); 💬 arr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 stringBuilder을 사용하여 각 문자들을 appned()로 더한 후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 toString()을 사용한다. stringBuilder을 사용하는 이유 자바에서 String 객체는 변경 불가능하다. 따라서 String 객체끼리 더하는 연산은 메모리 할당과 해제를 발생시켜 성능적으로 좋지 않기 때문에 stringBuilder을 사용한다. stringBuilder은 String 객체를 더할 때 새로.. 2021. 11. 18.
[프로그래머스] 약수의 합 / 자바 / Java 💡solutions ) 💬 for 반복문을 통해 n을 i로 나누었을 때 0이되는 약수들을 모두 찾아서 더해주면 되는 문제이다. 💬 참고 : 약수를 찾는 것이기 때문에 for문에서 주어진 n에 대해서 n / 2까지만 약수인지 확인해주면 돼서 계산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 for (int i=1; i 2021. 11. 8.
[프로그래머스]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 자바 / Java / substring() 💡solutions ) 💬 자바 언어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안돼서, 문법 공부를 할겸 프로그래머스 기본 문제들을 다시 풀어보고 있다. 💬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s[:2] 이런식으로 간편하게 슬라이싱할 수 있는데, 자바에서는 해당 인덱스의 문자열을 반환하는 substring() 메소드를 사용한다. substring() 메소드는 인자의 개수에 따른 차이 ✔ substring(int Index) 해당 인덱스부터 끝까지 문자열 반환 ✔ substring(int IndexA, int IndexB) 인덱스 A부터 B 직전까지의 문자열 반환 👨‍💻code )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 answer = ""; int a = s.length(.. 2021. 11. 8.
[프로그래머스] 체육복 / 자바 / Java / 그리디(Greedy) 알고리즘 💡solutions ) 💬 처음 코드를 제출했을 때 테스트케이스 13, 18번이 실패하였다. 8월 30일 기준으로 테케가 추가됐다고 하는데 아마도 lost나 reserve가 순서대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일 것이다. (예를 들면, lost = [4,3,5]) 이때 sorting을 해주지 않으면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문제에서 주어진 제한사항 중 5번째부터 해결한다. -> 첫 번째 이중 for문에서 여분의 체육복이 있지만 동시에 체육복을 도단당한 학생의 경우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는 상태로 만든다 reserve[j] = -1; 그리고 도난당한 학생 리스트에서도 제외해준다 lost[i] = -1; 💬 잃어버린 학생의 앞 또는 뒤에 있는 다른 학생으로부터 체육복을 빌려올 수 있는 경우 -> 빌려주.. 2021. 11. 7.